[프로그래머스 Level.2] 혼자서 하는 틱택토 (연습문제) (Java)
문제 링크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60585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코딩테스트 연습 > 연습문제 > 혼자서 하는 틱택토
문제 설명
틱택토는 두 사람이 하는 게임으로 처음에 3x3의 빈칸으로 이루어진 게임판에 선공이 "O", 후공이 "X"를 번갈아가면서 빈칸에 표시하는 게임입니다. 가로, 세로, 대각선으로 3개가 같은 표시가 만들어지면 같은 표시를 만든 사람이 승리하고 게임이 종료되며 9칸이 모두 차서 더 이상 표시를 할 수 없는 경우에는 무승부로 게임이 종료됩니다.
할 일이 없어 한가한 머쓱이는 두 사람이 하는 게임인 틱택토를 다음과 같이 혼자서 하려고 합니다.
- 혼자서 선공과 후공을 둘 다 맡는다.
- 틱택토 게임을 시작한 후 "O"와 "X"를 혼자서 번갈아 가면서 표시를 하면서 진행한다.
틱택토는 단순한 규칙으로 게임이 금방 끝나기에 머쓱이는 한 게임이 종료되면 다시 3x3 빈칸을 그린 뒤 다시 게임을 반복했습니다. 그렇게 틱택토 수 십 판을 했더니 머쓱이는 게임 도중에 다음과 같이 규칙을 어기는 실수를 했을 수도 있습니다.
- "O"를 표시할 차례인데 "X"를 표시하거나 반대로 "X"를 표시할 차례인데 "O"를 표시한다.
- 선공이나 후공이 승리해서 게임이 종료되었음에도 그 게임을 진행한다.
게임 도중 게임판을 본 어느 순간 머쓱이는 본인이 실수를 했는지 의문이 생겼습니다. 혼자서 틱택토를 했기에 게임하는 과정을 지켜본 사람이 없어 이를 알 수는 없습니다. 그러나 게임판만 봤을 때 실제로 틱택토 규칙을 지켜서 진행했을 때 나올 수 있는 상황인지는 판단할 수 있을 것 같고 문제가 없다면 게임을 이어서 하려고 합니다.
머쓱이가 혼자서 게임을 진행하다 의문이 생긴 틱택토 게임판의 정보를 담고 있는 문자열 배열 board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이 게임판이 규칙을 지켜서 틱택토를 진행했을 때 나올 수 있는 게임 상황이면 1을 아니라면 0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작성해 주세요.
- board의 길이 = board[i]의 길이 = 3
- board의 원소는 모두 "O", "X", "."으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board[i][j]는 i + 1행 j + 1열에 해당하는 칸의 상태를 나타냅니다.
- "."은 빈칸을, "O"와 "X"는 해당 문자로 칸이 표시되어 있다는 의미입니다.
입출력 예
board | result |
["O.X", ".O.", "..X"] | 1 |
["OOO", "...", "XXX"] | 0 |
["...", ".X.", "..."] | 0 |
["...", "...", "..."] | 1 |
입출력 예 #1
- 예제 1번의 게임판은 다음과 같습니다.
-
O.X .O. ..X
- 물론 위와 다르게 머쓱이가 2행 2열에 O, 3행 3열에 X, 1행 3열에 X, 1행 1열에 O 순서로 표시를 해서 실수를 했을 가능성도 있지만 "실수를 했을 가능성이 있는가"를 묻는 게 아닌 "이 게임판이 규칙을 지켜서 진행한 틱택토에서 나올 수 있는 상황인가"를 묻는 문제라는 것에 유의해주세요. 따라서 1을 return 합니다.
- 선공 후공이 번갈아가면서 다음과 같이 놓았을 때 이러한 게임판이 나올 수 있습니다.
- 1행 1열 → 1행 3열 → 2행 2열 → 3행 3열
- 1행 1열 → 3행 3열 → 2행 2열 → 1행 3열
- 2행 2열 → 1행 3열 → 1행 1열 → 3행 3열
- 2행 2열 → 3행 3열 → 1행 1열 → 1행 3열
입출력 예 #2
- 예제 2번의 게임판은 다음과 같습니다.
-
OOO ... XXX
- 규칙을 지켜서 진행한 틱택토라면 선공과 후공이 번갈아가면서 각각 1행, 3행 중 두 칸씩에 표시를 한 뒤 5번째 차례에 선공이 1행에 가로로 3개의 O를 완성했을 때 종료되므로 적어도 머쓱이가 게임이 종료된 후에도 계속 진행하는 실수를 했다는 것을 추론해 볼 수 있고, 정상적인 틱택토에서는 이러한 상황이 나올 수 없습니다. 따라서 0을 return 합니다.
입출력 예 #3
- 예제 3번은 2행 2열에만 X가 표시가 되어있습니다. 선공 O 표시가 없이 X만 있으므로 머쓱이가 O를 표시해야 할 때 X를 표시하는 실수를 했다는 것을 추론해 볼 수 있고, 규칙을 지켜서 진행했을 때는 이러한 상황이 나올 수 없습니다. 따라서 0을 return 합니다.
입출력 예 #4
- 예제 4번은 빈 3x3 게임판입니다. 선공이 아직 빈칸에 표시하기 전에 이러한 상황이 나올 수 있습니다. 따라서 1을 return 합니다.
나의 코드
class Solution {
int oBingoCnt = 0;
int xBingoCnt = 0;
public int solution(String[] board) {
int answer = 1;
int oCnt = 0;
int xCnt = 0;
for(int i=0; i<board.length; i++) {
// 수평 일직선 체크
if("OOO".equals(board[i])) oBingoCnt++;
if("XXX".equals(board[i])) xBingoCnt++;
// O , X 카운팅
for(int j=0; j<board[0].length(); j++) {
if(board[i].charAt(j) == 'O') oCnt++;
if(board[i].charAt(j) == 'X') xCnt++;
}
}
// O는 X와 같거나 X+1 이어야 함
if(!(oCnt == xCnt || oCnt == xCnt + 1)) return 0;
// 첫 행의 i열 문자에 따라 체크
for(int i=0; i<board[0].length(); i++) {
char c = board[0].charAt(i);
if(c == 'O' || c == 'X') check(i, c, board);
}
// 빙고의 개수 체크 (한 번에 빙고가 여러개 생길 수 있다)
if(oBingoCnt > 0 && xBingoCnt > 0) return 0; // 양쪽 다 빙고를 했다면 실수
if(oBingoCnt > 0 && oCnt == xCnt) return 0; // O가 빙고했는데 X 개수가 O 개수랑 같으면 실수(O가 빙고했는데 X가 한 번 더 놓음)
if(xBingoCnt > 0 && oCnt > xCnt) return 0; // X가 빙고했는데 O 개수가 X 개수보다 크면 실수 (X가 빙고했는데 O가 한 번 더 놓음)
return answer;
}
public void check(int i, char c, String[] board) {
// 대각선(\) 체크
if(i == 0) {
if(board[1].charAt(1) == c && board[2].charAt(2) == c) {
if(c == 'O') oBingoCnt++;
if(c == 'X') xBingoCnt++;
}
}
// 대각선(/) 체크
if(i == 2) {
if(board[1].charAt(1) == c && board[0].charAt(2) == c) {
if(c == 'O') oBingoCnt++;
if(c == 'X') xBingoCnt++;
}
}
// 수직 일직선 체크
if(board[1].charAt(i) == c && board[2].charAt(i) == c) {
if(c == 'O') oBingoCnt++;
if(c == 'X') xBingoCnt++;
}
}
}
풀이
- 실수를 했는지 체크해야 할 부분을 생각해보면 4가지 경우가 나온다. (수평, 수직, 대각선이 모두 "O" or "X"이면 빙고라 함)
- 총 4가지의 경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X"가 "O"보다 많은 경우 ("O"가 선공이기 때문에 "X"는 무조건 "O"보다 1개 적거나 같아야 함)
2. "O"와 "X"가 모두 한 개 이상의 빙고가 있는 경우(선공 or 후공이 먼저 빙고를 했을 때 종료되었어야 함)
3. "O"가 한 개 이상의 빙고가 있을 때 "O"의 개수와 "X"의 개수가 같은 경우(선공이 빙고를 했는데 후공이 한 턴 더 사용한 상황)
4. "X"가 한 개 이상의 빙고가 있을 때 "O"의 개수가 "X"의 개수보다 많은 경우(후공이 빙고를 했는데 선공이 한 턴 더 사용한 상황) - 처음에 선공 or 후공 한 쪽이 먼저 빙고를 한 개 만들어지면 바로 종료가 되었어야 한다고 생각했는데 한 턴을 사용했을 때 빙고가 여러개 만들어지는 경우가 있다는 것을 뒤늦게 알아냈다.
- 주어진 board를 순회하면서 "O"와 "X"의 개수를 카운팅하고 수평으로 일직선, 수직으로 일직선, 대각선(\), 대각선(/)이 모두 "O"로 되어있거나 "X"로 되어있는지 확인하여 카운팅하도록 한다.
- 그리고 위에서 살펴본 4가지 경우에 해당하는지 모두 확인하여 하나라도 해당한다면 실수를 한 경우이므로 0을 반환하고 모두 해당하지 않다면 1을 반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