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링크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9189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코딩테스트 연습 > 그래프 > 가장 먼 노드
문제 설명
n개의 노드가 있는 그래프가 있습니다. 각 노드는 1부터 n까지 번호가 적혀있습니다. 1번 노드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노드의 갯수를 구하려고 합니다. 가장 멀리 떨어진 노드란 최단경로로 이동했을 때 간선의 개수가 가장 많은 노드들을 의미합니다.
노드의 개수 n, 간선에 대한 정보가 담긴 2차원 배열 vertex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1번 노드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진 노드가 몇 개인지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작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노드의 개수 n은 2 이상 20,000 이하입니다.
- 간선은 양방향이며 총 1개 이상 50,000개 이하의 간선이 있습니다.
- vertex 배열 각 행 [a, b]는 a번 노드와 b번 노드 사이에 간선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입출력 예
n | vertex | return |
6 | [[3, 6], [4, 3], [3, 2], [1, 3], [1, 2], [2, 4], [5, 2]] | 3 |
입출력 예 설명
예제의 그래프를 표현하면 아래 그림과 같고, 1번 노드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노드는 4,5,6번 노드입니다.

나의 코드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boolean[] visited;
ArrayList<Integer>[] graph;
int answer = 0;
public int solution(int n, int[][] edge) {
visited = new boolean[n+1];
graph = new ArrayList[n+1];
for(int i=1; i<=n; i++) {
graph[i] = new ArrayList<>();
}
for(int i=0; i<edge.length; i++) {
graph[edge[i][0]].add(edge[i][1]);
graph[edge[i][1]].add(edge[i][0]);
}
bfs(1);
return answer;
}
public void bfs(int start) {
Queue<Integer> q = new LinkedList<>();
q.add(start);
visited[start] = true;
// bfs는 인접한 노드들을 queue에 추가해 주는 방법인데, 바로 queue에 추가하지 않고 tempList에 추가했다가
// 한 번에 queue에 추가하기 때문에 같은 거리에 있는 것들의 개수를 셀 수 있었다. => tempList.size()
while(true) {
ArrayList<Integer> tempList = new ArrayList<>();
while(!q.isEmpty()) {
int now = q.poll();
for(int next : graph[now]) {
if(!visited[next]) {
visited[next] = true;
tempList.add(next);
}
}
}
if(tempList.size() == 0) return;
answer = tempList.size();
q.addAll(tempList);
}
}
}
풀이
- 그래프가 전부 연결되어 있으므로 완전탐색 bfs(너비 우선 탐색) 방법으로 연결된 노드들을 찾아가면 되는데 여기서 해당 depth의 노드들의 개수를 체크하기 위해서 해당 depth의 노드들을 임시 List에 담아놓고 List의 크기를 확인한 뒤 마지막 depth가 아니라면(List의 크기가 0이 아니라면) answer에 업데이트 하고 임시 List에 담아놓은 노드들을 Queue에 담고 다시 탐색을 진행하면 된다.
- 방문한 노드들을 체크하기 위해 boolean형 배열 visited와 연결된 노드들을 담기 위해서 ArrayList를 원소로 갖는 배열을 생성하고 주어진 edge를 for문을 돌면서 해당 노드에 연결된 노드들을 담는다.
- 노드 1부터 bfs 탐색을 시작한다.
- Queue를 생성하고 1을 담은 후에 visited[1]을 true로 한다.
- 이제 while문을 돌면서 tempList를 생성하고 내부에 Queue가 빌 때까지 반복하는 while문을 하나 더 생성한다.
- Queue가 빌 때까지 Queue에서 노드를 꺼내 해당 노드와 인접하고 방문하지 않은 노드들을 tempList에 담은 후에 tempList의 크기(해당 depth의 노드 개수)를 answer에 저장하고 Queue에 모두 담아준다.
- 만약 tempList의 크기가 0이라면 더 이상 먼 거리에 연결된 노드가 없다는 것으로 제일 끝에 있는 노드들이였으므로 종료하고 answer를 반환한다.
'Programme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Level.3] 디스크 컨트롤러 (힙(Heap)) (Java) (0) | 2023.02.17 |
---|---|
[프로그래머스 Level.3] 여행경로 (깊이/너비 우선 탐색(DFS/BFS)) (Java) (0) | 2023.02.16 |
[프로그래머스 Level.3] 등굣길 (동적계획법(Dynamic Programming)) (Java) (0) | 2023.02.15 |
[프로그래머스 Level.3] 숫자 게임 (Summer/Winter Coding(~2018)) (Java) (0) | 2023.02.14 |
[프로그래머스 Level.3] 단속카메라 (탐욕법(Greedy)) (Java) (0) | 2023.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