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링크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50369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코딩테스트 연습 > 2023 KAKAO BLIND RECRUITMENT > 택배 배달과 수거하기
문제 설명

당신은 일렬로 나열된 n개의 집에 택배를 배달하려 합니다. 배달할 물건은 모두 크기가 같은 재활용 택배 상자에 담아 배달하며, 배달을 다니면서 빈 재활용 택배 상자들을 수거하려 합니다.
배달할 택배들은 모두 재활용 택배 상자에 담겨서 물류창고에 보관되어 있고, i번째 집은 물류창고에서 거리 i만큼 떨어져 있습니다. 또한 i번째 집은 j번째 집과 거리 j - i만큼 떨어져 있습니다. (1 ≤ i ≤ j ≤ n)
트럭에는 재활용 택배 상자를 최대 cap개 실을 수 있습니다. 트럭은 배달할 재활용 택배 상자들을 실어 물류창고에서 출발해 각 집에 배달하면서, 빈 재활용 택배 상자들을 수거해 물류창고에 내립니다. 각 집마다 배달할 재활용 택배 상자의 개수와 수거할 빈 재활용 택배 상자의 개수를 알고 있을 때, 트럭 하나로 모든 배달과 수거를 마치고 물류창고까지 돌아올 수 있는 최소 이동 거리를 구하려 합니다.
각 집에 배달 및 수거할 때, 원하는 개수만큼 택배를 배달 및 수거할 수 있습니다.
다음은 cap=4 일 때, 최소 거리로 이동하면서 5개의 집에 배달 및 수거하는 과정을 나타낸 예시입니다.
배달 및 수거할 재활용 택배 상자 개수
집 #1 | 집 #2 | 집 #3 | 집 #4 | 집 #5 | |
배달 | 1개 | 0개 | 3개 | 1개 | 2개 |
수거 | 0개 | 3개 | 0개 | 4개 | 0개 |
배달 및 수거 과정
집 #1 | 집 #2 | 집 #3 | 집 #4 | 집 #5 | 설명 | |
남은 배달/수거 | 1/0 | 0/3 | 3/0 | 1/4 | 2/0 | 물류창고에서 택배 3개를 트럭에 실어 출발합니다. |
남은 배달/수거 | 1/0 | 0/3 | 3/0 | 0/4 | 0/0 | 물류창고에서 5번째 집까지 이동하면서(거리 5) 4번째 집에 택배 1개를 배달하고, 5번째 집에 택배 2개를 배달합니다. |
남은 배달/수거 | 1/0 | 0/3 | 3/0 | 0/0 | 0/0 | 5번째 집에서 물류창고까지 이동하면서(거리 5) 4번째 집에서 빈 택배 상자 4개를 수거한 후, 수거한 빈 택배 상자를 물류창고에 내리고 택배 4개를 트럭에 싣습니다. |
남은 배달/수거 | 0/0 | 0/3 | 0/0 | 0/0 | 0/0 | 물류창고에서 3번째 집까지 이동하면서(거리 3) 1번째 집에 택배 1개를 배달하고, 3번째 집에 택배 3개를 배달합니다. |
남은 배달/수거 | 0/0 | 0/0 | 0/0 | 0/0 | 0/0 | 3번째 집에서 물류창고까지 이동하면서(거리 3) 2번째 집에서 빈 택배 상자 3개를 수거한 후, 수거한 빈 택배 상자를 물류창고에 내립니다. |
16(=5+5+3+3)의 거리를 이동하면서 모든 배달 및 수거를 마쳤습니다. 같은 거리로 모든 배달 및 수거를 마치는 다른 방법이 있지만, 이보다 짧은 거리로 모든 배달 및 수거를 마치는 방법은 없습니다.
트럭에 실을 수 있는 재활용 택배 상자의 최대 개수를 나타내는 정수 cap, 배달할 집의 개수를 나타내는 정수 n, 각 집에 배달할 재활용 택배 상자의 개수를 담은 1차원 정수 배열 deliveries와 각 집에서 수거할 빈 재활용 택배 상자의 개수를 담은 1차원 정수 배열 pickup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이때, 트럭 하나로 모든 배달과 수거를 마치고 물류창고까지 돌아올 수 있는 최소 이동 거리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 1 ≤ cap ≤ 50
- 1 ≤ n ≤ 100,000
- deliveries의 길이 = pickups의 길이 = n
- deliveries[i]는 i+1번째 집에 배달할 재활용 택배 상자의 개수를 나타냅니다.
- pickups[i]는 i+1번째 집에서 수거할 빈 재활용 택배 상자의 개수를 나타냅니다.
- 0 ≤ deliveries의 원소 ≤ 50
- 0 ≤ pickups의 원소 ≤ 50
- 트럭의 초기 위치는 물류창고입니다.
입출력 예
cap | n | deliveries | pickups | result |
4 | 5 | [1, 0, 3, 1, 2] | [0, 3, 0, 4, 0] | 16 |
2 | 7 | [1, 0, 2, 0, 1, 0, 2] | [0, 2, 0, 1, 0, 2, 0] | 30 |
입출력 예 #1
- 문제 예시와 동일합니다.
입출력 예 #2
배달 및 수거할 재활용 택배 상자 개수
집 #1 | 집 #2 | 집 #3 | 집 #4 | 집 #5 | 집 #6 | 집 #7 | |
배달 | 1개 | 0개 | 2개 | 0개 | 1개 | 0개 | 2개 |
수거 | 0개 | 2개 | 0개 | 1개 | 0개 | 2개 | 0개 |
배달 및 수거 과정
집 #1 | 집 #2 | 집 #3 | 집 #4 | 집 #5 | 집 #6 | 집 #7 | 설명 | |
남은 배달/수거 | 1/0 | 0/2 | 2/0 | 0/1 | 1/0 | 0/2 | 2/0 | 물류창고에서 택배 2개를 트럭에 실어 출발합니다. |
남은 배달/수거 | 1/0 | 0/2 | 2/0 | 0/1 | 1/0 | 0/2 | 0/0 | 물류창고에서 7번째 집까지 이동하면서(거리 7) 7번째 집에 택배 2개를 배달합니다. |
남은 배달/수거 | 1/0 | 0/2 | 2/0 | 0/1 | 1/0 | 0/0 | 0/0 | 7번째 집에서 물류창고까지 이동하면서(거리 7) 6번째 집에서 빈 택배 상자 2개를 수거한 후, 수거한 빈 택배 상자를 물류창고에 내리고 택배 2개를 트럭에 싣습니다. |
남은 배달/수거 | 1/0 | 0/2 | 1/0 | 0/1 | 0/0 | 0/0 | 0/0 | 물류창고에서 5번째 집까지 이동하면서(거리 5) 3번째 집에 택배 1개를 배달하고, 5번째 집에 택배 1개를 배달합니다. |
남은 배달/수거 | 1/0 | 0/1 | 1/0 | 0/0 | 0/0 | 0/0 | 0/0 | 5번째 집에서 물류창고까지 이동하면서(거리 5) 4번째 집에서 빈 택배 상자 1개를 수거하고 2번째 집에서 빈 택배 상자 1개를 수거한 후, 수거한 빈 택배 상자를 물류창고에 내리고 택배 2개를 트럭에 싣습니다. |
남은 배달/수거 | 0/0 | 0/1 | 0/0 | 0/0 | 0/0 | 0/0 | 0/0 | 물류창고에서 3번째 집까지 이동하면서(거리 3) 1번째 집에 택배 1개를 배달하고, 3번째 집에 택배 1개를 배달합니다. |
남은 배달/수거 | 0/0 | 0/0 | 0/0 | 0/0 | 0/0 | 0/0 | 0/0 | 3번째 집에서 물류창고까지 이동하면서(거리 3) 2번째 집에서 빈 택배 상자 1개를 수거한 후, 수거한 빈 택배 상자를 물류창고에 내립니다. |
30(=7+7+5+5+3+3)의 거리를 이동하면서 모든 배달 및 수거를 마쳤습니다. 같은 거리로 모든 배달 및 수거를 마치는 다른 방법이 있지만, 이보다 짧은 거리로 모든 배달 및 수거를 마치는 방법은 없습니다.
따라서, 30을 return 하면 됩니다.
나의 코드
class Solution {
public long solution(int cap, int n, int[] deliveries, int[] pickups) {
long answer = 0;
int dIdx = deliveries.length-1;
int pIdx = pickups.length-1;
// 처음에 배달 할 개수가 0보다 큰 집의 인덱스 찾아 세팅
while(dIdx >= 0 && deliveries[dIdx] == 0) dIdx--;
// 처음에 수거 할 개수가 0보다 큰 집의 인덱스 찾아 세팅
while(pIdx >= 0 && pickups[pIdx] == 0) pIdx--;
while(dIdx >= 0 || pIdx >= 0) {
answer += Math.max(dIdx + 1, pIdx + 1) * 2; // 이번에 가야 할 집 중에 제일 먼 집까지의 왕복 거리
int delivery = cap; // 한 번에 트럭이 배달 할 수 있는 개수
while(dIdx >= 0 && delivery >= 0) {
if(deliveries[dIdx] > delivery) { // 해당 집의 배달 할 개수가 더 크면 해당 개수만큼만 배달하고 종료
deliveries[dIdx] -= delivery;
break;
} else { // 해당 집의 배달 할 개수가 더 작으면 해당 개수만큼 제거하고 그 앞의 집도 탐색
delivery -= deliveries[dIdx];
deliveries[dIdx] = 0;
dIdx--;
}
}
int pickup = cap;
while(pIdx >= 0 && pickup >= 0) {
if(pickups[pIdx] > pickup) {
pickups[pIdx] -= pickup;
break;
} else {
pickup -= pickups[pIdx];
pickups[pIdx] = 0;
pIdx--;
}
}
}
return answer;
}
}
풀이
- 한 번 배달을 갔다 올 때 배달 해야하는 집이나 수거 해야하는 집 중에서 더 먼 곳까지 갔다가 오면서 먼 곳부터 cap의 크기만큼 최대한 배달하고 먼 곳부터 cap의 크기만큼 최대한 수거해 오는 것을 반복하여 배달과 수거를 모두 완료하면 된다.
- deliveries의 인덱스를 나타낼 dIdx와 pickups의 인덱스를 나타낼 pIdx를 선언하고 각각 deliveries의 마지막 인덱스와 pickups의 마지막 인덱스로 초기화한다.
- deliveries의 마지막 인덱스의 값과 pickups의 마지막 인덱스의 값이 0일 수도 있으므로 값이 0이 아닐 때까지 감소시켜 값이 있는 제일 먼 곳의 인덱스가 되도록 한다.
- dIdx와 pIdx가 둘 다 0보다 작아지면 종료되는 while문을 생성한다.
- while문이 돌 때마다 집의 번호는 1부터 시작이므로 dIdx와 pIdx 중 큰 값에 1을 더해주고 왕복이므로 *2를 하여 answer에 더해주도록 한다.
- 그리고 cap만큼 배달을 해주기 위해 int형 delivery를 cap의 크기로 초기화 하고 배달을 위한 while문을 생성하여 dIdx가 0 이상이고 delivery가 0 이상이면(배달할 수 있는 개수가 남아있다면) deliveries[dIdx]와 delivery을 비교하여 배달을 한다.
- deliveries[dIdx]가 delivery보다 크다면 해당 집에만 배달을 해도 더 해야하므로 deliveries[dIdx]를 delivery만큼을 빼고 해당 배달 while문을 종료한다.
- deliveries[dIdx]가 delivery 이하라면 delivery를 deliveries[dIdx]만큼을 뺀 후에 해당 집은 배달을 끝냈으므로 deliveries[dIdx] = 0으로 변경한 후에 dIdx를 1 감소시킨 후 남은 deliverywhile문을 반복한다.
- 마찬가지로 cap만큼 수거를 해주기 위해 int형 pickup을 cap의 크기로 초기화 하고 수거를 위한 while문을 생성하여 pIdx가 0 이상이고 pickup이 0 이상이면(수거할 수 있는 개수가 남아있다면) pickups[pIdx]와 pickup을 비교하여 수거를 한다.
- 이렇게 한 번 왕복 할 때마다 배달이나 수거를 해야 할 집 중 가장 먼 곳까지 갔다 오면서 cap의 크기만큼 배달과 수거를 최대한 했으므로 매번 answer에 더해준 왕복 거리 answer가 최소 이동 거리가 된다.
'Programme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Level.3] 표현 가능한 이진트리 (2023 KAKAO BLIND RECRUITMENT) (Java) (0) | 2023.06.15 |
---|---|
[프로그래머스 Level.2] 이모티콘 할인행사 (2023 KAKAO BLIND RECRUITMENT) (Java) (0) | 2023.06.13 |
[프로그래머스 Level.1] 개인정보 수집 유효기간 (2023 KAKAO BLIND RECRUITMENT) (Java) (0) | 2023.06.07 |
[프로그래머스 Level.3] 퍼즐 조각 채우기 (깊이/너비 우선 탐색(DFS/BFS)) (Java) (1) | 2023.05.19 |
[프로그래머스 Level.2] 두 원 사이의 정수 쌍 (연습문제) (Java) (1) | 2023.05.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