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 링크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64063
프로그래머스
코드 중심의 개발자 채용. 스택 기반의 포지션 매칭. 프로그래머스의 개발자 맞춤형 프로필을 등록하고, 나와 기술 궁합이 잘 맞는 기업들을 매칭 받으세요.
programmers.co.kr
코딩테스트 연습 > 2019 카카오 개발자 겨울 인턴십 > 호텔 방 배정
문제 설명
[본 문제는 정확성과 효율성 테스트 각각 점수가 있는 문제입니다.]
"스노우타운"에서 호텔을 운영하고 있는 "스카피"는 호텔에 투숙하려는 고객들에게 방을 배정하려 합니다. 호텔에는 방이 총 k개 있으며, 각각의 방은 1번부터 k번까지 번호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처음에는 모든 방이 비어 있으며 "스카피"는 다음과 같은 규칙에 따라 고객에게 방을 배정하려고 합니다.
- 한 번에 한 명씩 신청한 순서대로 방을 배정합니다.
- 고객은 투숙하기 원하는 방 번호를 제출합니다.
- 고객이 원하는 방이 비어 있다면 즉시 배정합니다.
- 고객이 원하는 방이 이미 배정되어 있으면 원하는 방보다 번호가 크면서 비어있는 방 중 가장 번호가 작은 방을 배정합니다.
예를 들어, 방이 총 10개이고, 고객들이 원하는 방 번호가 순서대로 [1, 3, 4, 1, 3, 1] 일 경우 다음과 같이 방을 배정받게 됩니다.
원하는 방 번호 | 배정된 방 번호 |
1 | 1 |
3 | 3 |
4 | 4 |
1 | 2 |
3 | 5 |
1 | 6 |
전체 방 개수 k와 고객들이 원하는 방 번호가 순서대로 들어있는 배열 room_number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각 고객에게 배정되는 방 번호를 순서대로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k는 1 이상 1012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 room_number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200,000 이하입니다.
- room_number 배열 각 원소들의 값은 1 이상 k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 room_number 배열은 모든 고객이 방을 배정받을 수 있는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집니다.
- 예를 들어, k = 5, room_number = [5, 5] 와 같은 경우는 방을 배정받지 못하는 고객이 발생하므로 이런 경우는 입력으로 주어지지 않습니다.
k | room_number | result |
10 | [1,3,4,1,3,1] | [1,3,4,2,5,6] |
입출력 예 #1
문제의 예시와 같습니다.
첫 번째 ~ 세 번째 고객까지는 원하는 방이 비어 있으므로 즉시 배정받을 수 있습니다. 네 번째 고객의 경우 1번 방을 배정받기를 원했는데, 1번 방은 빈 방이 아니므로, 1번 보다 번호가 크고 비어 있는 방 중에서 가장 번호가 작은 방을 배정해야 합니다. 1번 보다 번호가 크면서 비어있는 방은 [2번, 5번, 6번...] 방이며, 이중 가장 번호가 작은 방은 2번 방입니다. 따라서 네 번째 고객은 2번 방을 배정받습니다. 마찬가지로 5, 6번째 고객은 각각 5번, 6번 방을 배정받게 됩니다.
나의 코드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Map<Long, Long> map;
public long[] solution(long k, long[] room_number) {
long[] answer = new long[room_number.length];
map = new HashMap<>();
for(int i=0; i<room_number.length; i++) {
System.out.println(room_number[i]+"번 방 배정 요청");
answer[i] = assignRoom(room_number[i]);
}
return answer;
}
private long assignRoom(long room_number) {
if(!map.containsKey(room_number)) { // map에 해당 방 번호가 없으면 원했던 방 번호 배정 가능
map.put(room_number, room_number + 1); // key=요청 방 번호, value=다음 방 번호
return room_number;
}
long nextRoom_number = map.get(room_number); // map에 해당 방 번호가 있으므로 다음 방 번호를 조회
long emptyRoom_number = assignRoom(nextRoom_number);
map.put(room_number, emptyRoom_number);
return emptyRoom_number;
}
}
풀이
- k가 최대 10^12 이므로 효율성을 잘 생각해서 풀어야 하는 문제이다. boolean 형의 배열을 생성해서 배정된 방을 구분하여 for문을 돌면서 방을 배정하는 방식으로 풀었다가 역시나 효율성 성 테스트를 통과하지 못했다.
- map에서 데이터를 조회하는 것은 O(1)로 매우 빠르므로 map을 이용해서 방을 배정하면서 배정한 방은 다음 배정 할 방을 value로 갖도록 풀었다. 배정된 방을 거치면서 recursive하게 배정 할 방을 value로 갖도록 했다.
- 우선 'key=해당 방 번호, value=다음 방 번호' 로 하는 map을 하나 생성하고 room_number를 for문을 돌면서 방을 배정하여 answer 배열에 배정한 방 번호를 담는다.
- 고객이 배정을 요청한 방 번호가 아직 배정하지 않은 방이면 map에 없으므로 해당 요청 방 번호는 배정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해당 방 번호를 key로 다음번에 해당 방 번호 요청시에는 다음 방을 배정해야 하므로 value에는 요청 방 번호 +1을 해서 넣어주고 요청한 방 번호를 리턴한다. - 이미 배정한 방을 요청 했을 때가 중요한데 이 때는 배정을 했기때문에 이미 map에 있으므로 해당 방 요청시에 다음 방 번호를 map에서 요청한 방 번호로 조회를 한다. 이 다음 방 번호로 recursive 호출을 하여 다시 map에 없는지 판단하여 방을 배정하도록 하고 map에 담아주면 된다. 그리고 recursive 호출을 했던 방 번호의 다음 방(value)들을 전부 map에 담았던 key 값으로 전부 바꿔주면 된다.
예를 들어 map에 데이터가 key=3,value=4 , key=4,value=5 이렇게 들어있다면 3번방, 4번방은 배정되어 있는 상태이다. 이 때 3번방이 다시 요청이 들어온다면 3 -> 4 -> 5이 되어 5번방을 배정하고 map에 key=5,value=6을 추가하고 호출되었던 4번방과 3번방은 value로 5를 갖게 된다. 5번방,4번방,3번방을 요청했을 때는 전부 5번방을 요청한 것과 동일하게 판단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Programmers'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Level.2] 큰 수 만들기 (탐욕법(Greedy)) (Java) (0) | 2022.12.22 |
---|---|
[프로그래머스 Level.4] 도둑질 (동적계획법) (Java) (0) | 2022.12.21 |
[프로그래머스 Level.2] [1차] 프렌즈4블록 (2018 KAKAO BLIND RECRUITMENT) (Java) (2) | 2022.12.20 |
[프로그래머스 Level.2] 주차 요금 계산 (2022 KAKAO BLIND RECRUITMENT) (Java) (0) | 2022.12.20 |
[프로그래머스 Level.4] 무지의 먹방 라이브 (2019 KAKAO BLIND RECRUITMENT) (Java) (0) | 2022.12.20 |